728x90
반응형

* 본 포스팅은 주피터 노트북을 이용하였다. 차이는 print문이므로 파이참에 적용하려면 print를 붙여주면 된다!

 

멤버 연산자인 in, not in을 확인해 보자

 

a_list 문자열 생성

 

사진처럼 in 을 이용해 내가 찾고 싶은 값이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를 반환한다.

 

if 문을 이용하여 이 해당 값이 있을 경우 문자열 배열에 삭제하도록 해보자

 

12가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제 ) a_list에 있는 값과 b_list에 있는 값들 중 겹치는 값을 출력해보자

[10, 16]이 나오면 되고 방법은 2가지가 있다.

 

1)

result =[]
for i in a_list:
    for j in b_list:
        if(i==j):
            result.append(i)
print(result)

 

2)

c_list=[]
for i in b_list:
    if i in a_list:
        c_list.append(i)
print(c_list)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본 포스팅은 주피터 노트북을 이용하였다.

 

* list[0] : 0번째 리스트 값 가져오기* list[:3] : 0~2까지 리스트 값가져오기* list[2:] 2번째 부터 끝까지 리스트 값 가져오기

 

 

list()로 묶으면 알아서 슬라이싱 해준다!

 

문제 ) 문자열을 리스트로 변환하고 그 문자열의 갯수가 몇개인지 알기

str22="대한민국의 국민이 되는 요건은 법률로 정한다. 헌법개정안은 국회가 의결한 후 30일 이내에 국민투표에 붙여 국회의원선거권자 과반수의 투표와 투표자 과반수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list1=list(str22)
len(list1)

 

리스트 안에 for문을 이용하여 값을 생성할 수 있다.

 

list[-2]는 뒤에서 2번째를 의미한다.

 

* append와 extend 

 

a_list가 ['a', 'b', 'c', 'd', 'e', 'f'] 인 상태에서 append와 extend를 사용해보자

 

append를 사용하면 [ ]도 생성되지만 extend는 문자열이 추가되었다.

 

* 중복 제거하기

 

a_list의 값이 [12, 56, 11, 'f', 'r', 't', 'f', 'r', 't'] 일때 중복을 제거해보자

distinct=set(a_list)
print(distinct)

* 해당되는 값 삭제

a_list.remove('c') #해당되는 값 삭제
print(a_list)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