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본 포스팅은 주피터 노트북에서 진행하였다.

 

포스트 요청시 보낼 데이터 만들기

data = dict1 = {"key1":"hong","key2":"icebear"}
data = urllib.parse.urlencode(data)
data=data.encode('utf-8')
data

 

Post 요청하기

 

req_post = Request(url, data=data, headers={}) #2번째 인자 : data, 3번째 인자 : header
page=urlopen(req_post)
page

 

Get 요청하기

req_get = Request(url+"?key1=values1&key2=values2",None, headers={}) #2번째 인자 : data, 3번째 인자 : header
page=urlopen(req_get)
print(page)

 

data를 만들때는 encode 함수를 이용하여 바이너리 형태로 인코딩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주피터 노트북으로 실행하였다!

 

직사각형과 원의 면적을 구하는 함수

def func(shape, width=1, height=1, radius=1):
    if shape==0: # shape값이 0이면 사각형의 면적을 반환
        return width * height
    elif shape ==1: # shape값이 0이면 원의 면적을 반환
        return 3.14 * radius **2

 

 

추가 문제로  shape이 2가 들어오면 근의 공식의 결과를 반환하는 기능도  추가 하였다!

def func(shape, width=1, height=1, radius=1,a=1,b=1,c=1):
    if shape==0: # shape값이 0이면 사각형의 면적을 반환
        return width * height
    elif shape ==1: # shape값이 0이면 원의 면적을 반환
        return 3.14 * radius **2
    elif shape==2:
        r1= (-b + (b**2-4*a*c)**0.5)/(2*a)
        r2 = (-b - (b**2-4*a*c)**0.5)/(2*a)
        print("{} 또는 {} 입니다.".format(r1,r2))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본 포스팅은 주피터 노트북을 이용하였다. 이 코드로는 파이참에서도 실행이 가능하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def print_star():
    print("==========")
print_star()
print_star()

함수를 호출하면 저장된 값이 반환된다.

def print_plus():
    print("++++++++++++")
print_star()
print_plus()
print_plus()
print_star()

def sum(a,b):
    return a+b
sum(7,6)

 

문제

1) 함수 호출을 하는데 파라미터로 숫자를 받고 그 숫자만큼 반복해서 출력하기

def star(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i+1):
            print("*",end="")
        print('')
        

2. input으로 2개의 값을 받아서 정수로 변환하고 그 값을 함수 호출시 전달

def sum1(x,y):
    print(x+y)


x = int(input("정수 입력하세요"))
y = int(input("정수 입력하세요"))
sum1(x,y)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주피터 노트북에서 파이썬 예제를 돌려볼 것이다.

 

1. 구구단(2단~9단)

for i in range(2,10):
    for j in range(1,10):
        print('{}*{}={:2d}'.format(i,j,i*j),end = ' ')
    print('\n')

 

2. 2부터 100까지 소수 구하기

primes=[]
for n in range(2,10):
    #일단 n을 소수라고 두자
    is_prime = True
    for num in range(2,n): #2~(n-1) 사이의 수 num에 대하여
        if n%num==0: #이 수중 n의 약수가 있으면
            is_prime = False

    if is_prime:
        primes.append(n)
print(primes) # 주피터 노트북에서는 print를 안쓴다.

 

3. while문으로 누적합 구하기

result = int(input('누적할 숫자를 입력하세요'))
i=1
sum=0
while i<=result:
    sum += i
    i=i+1
    print('i={}, sum={}'.format(i,su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