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6050 : [기초-비교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비교하기3(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두 정수(a, b)를 입력받아
b의 값이 a의 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 를, 같지 않으면 Fals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2개의 정수(a, b)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2147483647 <= a, b <= +2147483648

 

 

출력

b가 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True 를, 그렇지 않은 경우 False 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0 -1

 

 

출력 예시

False

 

 

내 소스

a,b=input().split()
a=int(a)
b=int(b)
print(a<=b)

 

 

모범 소스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a<=b)

 

 

참고

어떤 값을 비교하기 위해 비교/관계(comparison/relational) 연산자(operator)를 사용할 수 있다.

비교/관계연산자 <= 는
오른쪽의 계산 결과값이 왼쪽의 계산 결과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True(참)로 계산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False(거짓)로 계산한다.

<=, >= 연산자는 같음(==)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다/크다” 거나 "같다”는 의미를 가진다.
작다(<)/크다(>)/다르다(!) 기호는 등호(=)와 함께 왼쪽에 붙여써야 한다.

비교/관계연산자도 일반적인 사칙연산자처럼 주어진 두 수를 이용해 계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True(참), 또는 False(거짓)로 계산해주는 연산자이다.
비교/관계연산자는 <, >, <=, >=, ==(같다), !=(다르다) 6개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49 : [기초-비교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비교하기2(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두 정수(a, b)를 입력받아
a와 b의 값이 같으면 True 를, 같지 않으면 Fals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두 정수 a, b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2147483648 <= a, b <= +2147483647

 

 

출력

a와 b의 값이 같은 경우 True 를, 그렇지 않은 경우 False 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0 0

 

 

출력 예시

True

 

 

내 소스

a,b=input().split()
a=int(a)
b=int(b)
print(a==b)

 

 

모범 소스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a==b)

 

 

참고

어떤 값을 비교하기 위해 비교/관계(comparison/relational) 연산자(operator)를 사용할 수 있다.

비교/관계연산자 == (equal sign 2개) 는
왼쪽의 계산 결과값과 오른쪽의 계산 결과값이 같은 경우 True(참)로 계산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False(거짓)로 계산한다.

비교/관계연산자도 일반적인 사칙연산자처럼 주어진 두 수를 이용해 계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True(참), 또는 False(거짓)로 계산해 주는 연산자이다.

비교/관계연산자는 <, >, <=, >=, ==(같다), !=(다르다) 6개가 있다.

** 수학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계산 결과가 같음(동치)을 나타내는 기호 =(equal sign) 1개는
프로그래밍언어에서는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a = 1 와 같은 표현은 a와 1의 값이 같다는 의미가 아니라
오른쪽의 계산 결과값인 1을 왼쪽의 변수 a에 저장하라는 의미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48 : [기초-비교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비교하기1(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두 정수(a, b)를 입력받아
a가 b보다 작으면 True 를, a가 b보다 크거나 같으면 False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두 정수(a, b)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2147483648 <= a, b <= +2147483647

 

 

출력

a가 b보다 작은 경우 True 를, 그렇지 않은 경우 False 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1 9

 

 

출력 예시

True

 

 

내 소스

a,b=input().split()
a=int(a)
b=int(b)
print(a<b)

 

 

모범 소스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a<b)

 

 

참고

어떤 값을 비교하기 위해 비교/관계(comparison/relational) 연산자(operator)를 사용할 수 있다.

비교/관계연산자 < (less than sign) 는
왼쪽의 값이 오른쪽 값 보다 작은 경우 True(참)로 계산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False(거짓)로 계산한다.

비교/관계연산자도 일반적인 사칙연산자처럼 주어진 두 수를 이용해 계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True(참), 또는 False(거짓)로 계산해 주는 연산자이다.

비교/관계연산자는 <, >, <=, >=, ==(같다), !=(다르다) 6개가 있다.

True(참) 또는 False(거짓) 값으로만 표현하고 저장하는 값을 불(bool)/불리언(boolean) 값이라고 한다.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또 다른 형태의 데이터형(data type)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47 : [기초-비트시프트연산] 2의 거듭제곱 배로 곱해 출력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정수 2개(a, b)를 입력받아 a를 2**b배 곱한 값으로 출력해보자.
0 <= a <= 10, 0 <= b <= 10

 

 

입력

정수 2개(a, b)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0 <= a, b <= 10

 

 

출력

a 를 2**b배 만큼 곱한 값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1 3

 

 

출력 예시

8

 

 

내 소스

a,b=input().split()
a=int(a)
b=int(b)
print(a<<b)

 

 

모범 소스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a<<b)

 

 

참고

예를 들어 1 3 이 입력되면 1을 2**3(8)배 하여 출력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46 : [기초-비트시프트연산] 정수 1개 입력받아 2배 곱해 출력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정수 1개를 입력받아 2배 곱해 출력해보자.

 

 

입력

정수 한 개가 입력된다.
단, -1073741824 ~ +1073741823

 

 

출력

2배 곱한 정수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1024

 

 

출력 예시

2048

 

 

내 소스

a=int(input())
print(a<<1)

 

 

모범 소스

n = int(input())
print(n<<1)

 

 

참고

*2 를 계산한 값을 출력해도 되지만,
정수를 2배로 곱하거나 나누어 계산해 주는 비트단위시프트연산자 <<, >>를 이용할 수 있다.
컴퓨터 내부에는 2진수 형태로 값들이 저장되기 때문에,
2진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값들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지정한 비트 수만큼 밀어주면 2배씩 늘어나거나 1/2로 줄어드는데,

왼쪽 비트시프트(<<)가 될 때에는 오른쪽에 0이 주어진 개수만큼 추가되고,
오른쪽 비트시프트(>>)가 될 때에는 왼쪽에 0(0 또는 양의 정수인 경우)이나 1(음의 정수인 경우)이 개수만큼 추가되고,
가장 오른쪽에 있는 1비트는 사라진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45 : [기초-산술연산] 정수 3개 입력받아 합과 평균 출력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정수 3개를 입력받아 합과 평균을 출력해보자.

 

 

입력

정수 3개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출력

합과 평균을 공백을 두고 출력한다.
평균은 소숫점 이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입력 예시

1 2 3

 

 

출력 예시

6 2.00

 

 

내 소스

a,b,c=input().split()
a=int(a)
b=int(b)
c=int(c)
sum=a+b+c
print(sum)
print(format(sum/3,".2f"))

 

 

모범 소스

a, b, c = input().split()
a=int(a)
b=int(b)
c=int(c)
hap=a+b+c
avg=hap/3
print(hap, format(avg, ".2f"))

 

 

참고

공백으로 구분된 한 줄로 값들을 입력받기 위해서는
a, b, c = input().split()
과 같은 방법이 가능하고,

공백으로 구분해 두 값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print(d, e)
와 같은 방법이 가능하다.

잘라낸 값들은 그 값의 특성(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에 따라 명확하게 변환시킨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44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자동 계산하기(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정수 2개(a, b)를 입력받아 합, 차, 곱, 몫, 나머지, 나눈 값을 자동으로 계산해보자.
단 0 <= a, b <= 2147483647, b는 0이 아니다.

 

 

입력

정수 2개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출력

첫 번째 줄에 합
두 번째 줄에 차,
세 번째 줄에 곱,
네 번째 줄에 몫,
다섯 번째 줄에 나머지,
여섯 번째 줄에 나눈 값을 순서대로 출력한다.
(실수,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의 정확도로 출력)

 

 

입력 예시

10 3

 

 

출력 예시

13
7
30
3
1
3.33

 

 

내 소스

a,b=input().split()
a=int(a)
b=int(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format(a/b,".2f"))

 

 

모범 소스

a,b=input().split()
a=int(a)
b=int(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round(a/b,2))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43 : [기초-산술연산] 실수 2개 입력받아 나눈 결과 계산하기(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실수 2개(f1, f2)를 입력받아 f1 을 f2 로 나눈 값을 출력해보자.
이 때 소숫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무조건 소숫점 셋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입력

2개의 실수(f1, f2)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f1을 f2로 나눈 결과를 소숫점 이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숫점 세 번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입력 예시

10.0 3.0

 

 

출력 예시

3.333

 

 

내 소스

a,b=input().split()
a=float(a)
b=float(b)
print(format(a/b,".3f"))

 

 

모범 소스1

a,b=input().split()
a=float(a)
b=float(b)
c=a/b
print('%.3f'%c)

 

 

모범 소스2

a,b=input().split()
a=float(a)
b=float(b)
c=a/b
print(format(c,".3f"))

 

 

참고

python 언어에는 나눗셈(division)을 계산하는 연산자(/)가 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실수 변환이나 실수를 사용하는 계산은 
정확하게 변환되거나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모두 근사값으로 계산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수가 컴퓨터로 저장되기 위해서는 디지털방식으로 2진 정수화되어 저장되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아주 작은 부분이 저장되지 않고 사라지는 잘림(truncation) 오차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42 : [기초-값변환] 실수 1개 입력받아 소숫점이하 자리 변환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실수 1개를 입력받아
소숫점 이하 두 번째 자리까지의 정확도로 반올림한 값을 출력해보자.

 

 

입력

실수 1개가 입력된다.

 

 

출력

소숫점 이하 두 번째 자리까지의 정확도로 반올림한 값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3.141592

 

 

출력 예시

3.14

 

 

내 소스

a=float(input())
print(format(a,".2f"))

 

 

모범 소스

f = float(input())
print(round(f,2))

 

 

참고

format(수, ".2f") 를 사용하면 원하는 자리까지의 정확도로 반올림 된 실수 값을 만들어 준다. 
여기서 만들어진 값은 소수점 아래 3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다.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실수 변환이나 실수를 사용하는 계산은정확하게 변환되거나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모두 근사값으로 계산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수가 컴퓨터로 저장되기 위해서는 디지털방식으로 2진 정수화되어 저장되어야 하는데,그 과정에서 아주 작은 부분이 저장되지 않고 사라지는 잘림(truncation) 오차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41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나눈 나머지 계산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정수 2개(a, b) 를 입력받아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해보자.

 

 

입력

2개의 정수(a, b)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10 3

 

 

출력 예시

1

 

 

내 소스

a,b= input().split()
a=int(a)
b=int(b)
print(a%b)

 

 

모범 소스

a, b = input().split()
print(int(a)%int(b))

 

 

참고

python
 언어에서는 나눈 나머지를 계산하는 연산자(%, remainder)를 제공한다.
a%b 와 같이 작성하면, a를 b로 나눈 나머지(remainder)를 계산해준다.
나머지 연산(modulus, mod 연산)은 수학자 가우스가 생각해 낸 연산으로,
어떤 수를 다른 수로 나누고 난 후 남는 나머지를 계산하는 연산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