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6040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나눈 몫 계산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정수 2개(a, b) 를 입력받아 a를 b로 나눈 몫을 출력해보자.

 

 

입력

2개의 정수(a, b)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a를 b로 나눈 몫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10 3

 

 

출력 예시

3

 

 

내 소스

a,b=input().split()
a=int(a)
b=int(b)
print(a//b)

 

 

모범 소스

a, b = input().split()
print(int(a)//int(b))

 

 

참고

python언어에서는 나눈 몫을 계산하는 연산자(//, floor division)를 제공한다.
a//b 와 같이 작성하면, a를 b로 나눈 몫(quotient)을 계산해준다.
프로그래밍언어에 따라 이렇게 몫을 계산해주는 연산자가 없는 경우도 있다.

실수로 나눈 몫이 어떻게 계산될지도 생각해보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39 : [기초-산술연산] 실수 2개 입력받아 거듭제곱 계산하기(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실수 2개(f1, f2)를 입력받아
f1을 f2번 거듭제곱한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2개의 실수(f1, f2)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f1을 f2번 거듭제곱한 값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4.0 2.0

 

 

출력 예시

16.0

 

 

내 소스

a,b=input().split()
a=float(a)
b=float(b)
print(a**b)

 

 

모범 소스

f1, f2 = input().split()
f3 = float(f1)**float(f2)
print(f3)

 

 

참고

python 언어에서는 거듭제곱(exponentiation)을 계산하는 연산자(**)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수학 식에서 거듭제곱을 표현하는 사용하는 서컴플렉스/케릿 기호(^)는 프로그래밍언어에서 다른 의미로 쓰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38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거듭제곱 계산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정수 2개(a, b)를 입력받아
a를 b번 곱한 거듭제곱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2개의 정수(a, b)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a를 b번 거듭제곱한 값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2 10

 

 

출력 예시

1024

 

 

내 소스

a,b=input().split()
a=int(a)
b=int(b)
print(a**b)

 

 

모범 소스

a, b = input().split()
c = int(a)**int(b)
print(c)

 

 

참고

python
 언어에서는 거듭제곱을 계산하는 연산자(**)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수학 식에서 거듭제곱을 표현하는 사용하는 서컴플렉스/케릿 기호(^)는 프로그래밍언어에서 다른 의미로 쓰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37 : [기초-산술연산] 문장 여러 번 출력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반복 횟수와 문장을 입력받아 여러 번 출력해보자.

 

 

입력

반복 횟수와 문장이 줄을 바꿔 입력된다.

 

 

출력

입력된 횟수만큼 입력된 문장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3
I love CS

 

 

출력 예시

I love CSI love CSI love CS

 

 

내 소스

a=int(input())
b=input()
print(a*b)

 

 

모범 소스

n = input()
s = input()
print(int(n)*s)

 

 

참고

문자열 * 정수 또는 정수 * 문자열은 그 문자열을 여러 번 반복한 문자열을 만들어 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36 : [기초-산술연산] 단어 여러 번 출력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단어와 반복 횟수를 입력받아 여러 번 출력해보자.

 

 

입력

단어와 반복 횟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입력된 단어를 입력된 횟수만큼 반복해 출력한다.

 

 

입력 예시

love 3

 

 

출력 예시

lovelovelove

 

 

내 소스

a,b=input().split()
print(a*int(b))

 

 

모범 소스

w, n = input().split()
n=int(n)
print(w*n)

 

 

참고

문자열 * 정수 또는 정수 * 문자열은 그 문자열을 여러 번 반복한 문자열을 만들어 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35 : [기초-산술연산] 실수 2개 입력받아 곱 계산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실수 2개(f1, f2)를 입력받아 곱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2개의 실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첫 번째 실수와 두 번째 실수를 곱한 값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0.5 2.0

 

 

출력 예시

1.0

 

 

내 소스

a,b=input().split()
a=float(a)
b=float(b)
print(a*b)

 

 

모범 소스

f1, f2 = input().split()
m = float(f1)*float(f2)
print(m)

 

 

참고

수 * 수는 곱(multiplication)이 계산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34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차 계산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정수 2개(a, b)를 입력받아 a에서 b를 뺀 차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2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첫 번째 정수에서 두 번째 정수를 뺀 차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123 -123

 

 

출력 예시

246

 

 

내 소스

a,b=input().split()
a=int(a)
b=int(b)
print(a-b)

 

 

모범 소스

a, b = input().split()
c = int(a)-int(b)
print(c)

 

 

참고

수 - 수는 차(subtraction)가 계산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33 : [기초-산술연산] 문자 1개 입력받아 다음 문자 출력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문자 1개를 입력받아 그 다음 문자를 출력해보자.
영문자 'A'의 다음 문자는 'B'이고, 숫자 '0'의 다음 문자는 '1'이다.

 

 

입력

문자 1개가 입력된다.

 

 

출력

그 다음 문자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a

 

 

출력 예시

b

 

 

내 소스

a=ord(input())
print(chr(a+1))

 

 

모범 소스

n1=input()
n2=ord(n1)+1
s=chr(n2)
print(s)

 

 

참고

숫자는 수를 표현하는 문자로서 '0' 은 문자 그 자체를 의미하고, 0은 값을 의미한다.

힌트
아스키문자표에서 'A'는 10진수 65로 저장되고 'B'는 10진수 66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문자도 값으로 덧셈을 할 수 있다. 어떤 문자의 값에 1을 더하면 그 다음 문자의 값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32 : [기초-산술연산] 정수 1개 입력받아 부호 바꾸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입력된 정수의 부호를 바꿔 출력해보자.

 

 

입력

정수 1개가 입력된다.

 

 

출력

부호를 바꿔 출력한다.

 

 

입력 예시

-1

 

 

출력 예시

1

 

 

내 소스

a=int(input())
print(-a)

 

 

모범 소스

a=int(input())
print(-a)

 

 

참고

단항(unary) 연산자인 -(negative)를 변수 앞에 붙이면 부호가 반대인 값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6031 : [기초-값변환] 정수 입력받아 유니코드 문자로 변환하기(설명)(py)

시간 제한: 1 Sec  메모리 제한: 128 MB

 

 

문제 설명

10진 정수 1개를 입력받아
유니코드 문자로 출력해보자.

 

 

입력

10진 정수 1개(32 ~ 126 범위)가 입력된다.

 

 

출력

유니코드 문자로 출력한다.

 

 

입력 예시

65

 

 

출력 예시

A

 

 

내 소스

a=int(input())
print(chr(a))  
#c에 저장되어 있는 정수 값을 유니코드 문자(chracter)로 바꿔 출력

 

 

모범 소스

c=input()
c=int(c)
print(chr(c))

 

 

참고

입력은 기본적으로 모두 문자열로 입력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값이 문자/문자열/정수/실수인지에 따라서 먼저 정확하게 변환시킨 다음에 사용하거나 계산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123 이 입력 되었다고 한다면, 이건 정수일까? 문자열일까?
조금 생각해보면, 입력된 것만 보고는 그 값이 어떤 데이터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입력 값을 어떻게 해석하고 변환할 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작성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chr( )는 정수값->문자, ord( )는 문자->정수값 형태로 바꿔주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꾸어 주는 기능을 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